본문 바로가기
일상 Le giornate

횡단보도에 관하여 22년 5월 25일

by Alessio 2022. 5. 25.
반응형

중학교때였다. 한번은 친구가 이런 말을 한적이있었다. 
"아무것도 지나다니지 않는 횡단보도 앞에서 파란불을 기다리는건 굉장히 바보같은 짓이야"
나는 이 친구의 마음이 꼬여있다는 걸 일찍이 잘 알고있었다. 
또 동시에 바보처럼 기다리던 내 모습이 진짜 바보같이 느껴졌다. 

나의 행복을 극대화하는 방식이 사회의 행복을 증진하는 방식과 멀어지면
유지하기가 힘들다. 그래서 외골수들의 행복은 그 장막이 얇고 쉽게 부서질 것만 같다. 


늦은 밤 아무도 없는 거리에서 빨간불에 멈춰서는 것보다 달리는 것이 더 신나므로
개인의 행복이 극대화되고 그래서 사회의 행복이 극대화 된다. 

빨간불은 규율이며 권력이다. 내가 나 스스로를 감시하게끔
내 안에 사회가 상시 가동되는 백그라운드 앱을 깔아놓은거나 다름없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내가 즉 사회의 구성원이기에 이 규율을 깨면서 생기는 행복도
사회의 행복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렇다고 이 규율을 없애버리면 금새 이와 같은 상황은
행복감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매일 어디서는 누구나 할 수 있는 일탈은 일탈이 아니다. 

그리고 교통법규가 안지켜지면 병원은 금새 피바다로 가득찰 것이다.
여기에서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즉 사회가 불행하다. 

자동차가 있는한 횡단보도가 있고, 횡단보도가 있는한 자동차는 멈춰야한다.
멈춰야하는한 우리는 운전이 생각보다 신나는일이 아니라는걸 체감하게되고
그걸 몸이 기억하기에 한밤중 아스팔트 도로 위에 누워 소주마시던 내 기억이(?)
특별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내 생각이 내 생각보다 보수적이다. 새삼 느껴지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