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 Lingua/중국어 Cinese

[중국어 독학하기 #1] 모두가 가진 언어적 잠재력에 대해

by Alessio 2019. 5.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준씨입니다. 

저는 중국어를 독학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 언어를 독학으로 공부하시는 분이 계실까요?

 

만약 언어를 오랜 기간 독학으로 공부해오고 계신 분들이라면 아실 것 같아요.

 

처음에는 글자를 배우고, 기초 회화를 정리해보기도 하고, 발음도 열심히 공부를 합니다.

인터넷, 여러 앱으로 공부를 해보기 위해 외국인 친구들과 여러 질문도 주고받지요.

그렇지만 한 언어를 모국어처럼 습득한다는 것은 모국어만큼 쉽지는 않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그 이유를 바로

언어란 쓰지않으면 의미가 없는 것이다.

여기에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태초에 인간은 문자로 언어를 배우지 않았습니다. 그냥 말을 하는 것을 듣고 그것을 통해 습득했습니다.

촘스키, 찰스 양 등의 언어학자들의 말에 따르면 인간은 태어날 때 이미 같은 인간의 소리를 하나의 언어로 인식하여 정리할 수 있는 능력이 프로그래밍되어있다고 합니다. 그러니 우리가 어릴 때 모두 모국어를 배울 수 있었던 것입니다. 말은 많이 사용하지 않으면 금방 잊게 됩니다. 심지어 모국어도 그렇지요. 

 

저는 이태리어를 잘 합니다.

하지만 오 년 정도 안 쓰면 제 몸은 이태리어 대신 다른 걸 머릿속에 채워 넣겠죠.

한국어도 이태리에서 이태리어만 쓰는 환경에 처해지면 잘 안 나옵니다. 제가 이대로 여기서 20년을 살면, 제가 한국어를 말해도 그 문장 중 10% 이상은 항상 이태리어가 섞여 나오게 될 겁니다. 여기서 우리가 발견한 언어를 배울 때 중요한 점은 두 가지입니다.

 

먼저, 나 자신의 머리는 언어 습득에 최적화된 좋은 머리라는 것입니다. 애기 때만큼은 아니지만 우리는 모두 언어를 언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머리가 있습니다. 

 

혹시 외국인들 사이에서 도통 알 수 없는 언어만 주구장창 6개월만 들어보신 분이 계실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만약 그런 분이 계신다면 그분은 반드시 그 언어를 습득하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왜냐면 6개월이면 이미 우리 머리는 손보다 빠르게 그 소리들을 언어로서 이해하는 방법을 찾았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 습관이라는 후천적 요소는 생각보다 무섭다! 입니다.첫 번째에서 본 것 처럼 내가 타지에 놓여있다는 상황이 후천적 요소일 수있고, 아니면 나 스스로가 아주 노력할 경우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첫번째 요소를 살려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공부를 해주시면 그 노력의 결과는 생각보다 빠를 것이란 사실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언어학자 찰스 양은 태아가 어머니의 뱃속에서부터 어떻게 '소리'를 언어로 인식하고 습득하는지 그 모든 과정을 분석하여 책을 썼습니다. 그리고 그 책의 제목은 'The infinite gift' 즉, '무한한 재능'입니다. 어찌 보면 시간문제일 뿐, 언어의 장벽이란 없는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 다만 정말 그 시간이 문제인 것이지요.

 

저는 이러한 신념을 가지고 독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혼자 공부할 때 분명한 길잡이가 되어주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언어의 공통적인 특징 등, 언어를 공부할 때 알아두면 좋은 정보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모두들 원하는 언어를 습득하셔서 세상을 더 넓은 시야로 보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댓글